Surprise Me!

[경제를 부탁해]탄핵 불똥…재계, 내년 경영전략 재검토?

2024-12-19 1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<경제를 부탁해> 시작하겠습니다. 경제산업부 신선미 차장 나와 있습니다.<br><br>Q1. 비상계엄 사태에 따른 정치권발 악재가 실물 경제 전반을 뒤흔들고 있습니다. 재계와 주요 그룹은 내년 경영전략 재검토에 들어갔다고요?<br><br>네, 탄핵정국에 따른 손익 분석과 함께 내년 사업 전략을 조정하고 있습니다.<br><br>최대 180일이 소요되는 헌법재판소 탄핵 심판까지 불안한 정국이 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 사업별 변수와 시나리오를 신중하게 따져보고 있는 겁니다.<br><br>트럼프 2기 정권 출범이 가져올 후폭풍에도 대비해야 하는 상황인데요.<br><br>각 기업들은 해외 시장 동향을 살펴보며 비상대응체제에 돌입한 가운데 향후 그룹 전체에 미칠 리스크 분석에도 나섰습니다.<br><br>Q2. 반도체 업체는 주요 법안이 제때 처리되지 못하면서 셈법이 더 복잡해졌죠?<br><br>'반도체 특별법'이 마련됐지만, 비상계엄 사태로 모든 논의가 중단됐기 때문인데요.<br><br>여야는 현행 1%에 불과한 R&D 시설·장비투자 공제율이라도 20%로 높이기로 합의했었습니다. <br><br>하지만 모든 논의가 중단됐죠.<br><br>이 때문에 각국 정부가 전폭적으로 반도체 기업을 돕는 것과 달리 우리나라는 보조금을 지원할 근거가 없는 상황입니다.<br><br>여기에 반도체 공장의 대규모 전력 공급을 책임질 전력망 특별법도 여전히 상임위 계류 중이라 연내 처리가 불투명합니다.<br><br>당장 내년도 사업 계획에 맞춰 생산에 들어가야 하는 기업들은 속이 탈 수 밖에 없는 상황인 겁니다.<br><br>Q3. 이런 가운데 삼성전자는 화요일부터 글로벌 전략회의에 들어갔다고요? <br><br>내년 사업 전략을 논의하기 위해선데요.<br><br>삼성전자 글로벌 전략회의는 매년 6월과 12월 두 차례 열립니다.<br><br>국내외 임원급이 모이는데, 해외 법인 총괄 9명이 귀국해 회의에 참석했습니다. <br><br>연말 글로벌 전략회의에서 해외 총괄 전원이 모여 대면 회의를 연 것은 팬데믹 이전인 2019년 이후 5년 만입니다.<br><br>이번 회의에선 제품별 판매 확대 전략과 고환율 등에 따른 리스크 관리가 집중 논의될 것으로 전망됩니다.<br><br>갤럭시 S25 등 내년 상반기 라인업 판매전략과 가전 구독 서비스 확대 방안, 국가별 마케팅 전략 등이 거론됩니다.<br><br>반도체 부문에선 근원적인 경쟁력 회복 방안을 모색할 걸로 보입니다.<br><br>Q4. 환율과 내수 경기에 민감한 유통·식품업체들도 대응 방안을 고심하고 있죠?<br><br>최악의 상황은 피했다는 분석이 나오지만, 내년 실적 방어를 위한 묘수 찾기에 골몰하는 분위기입니다. <br><br>특히 롯데그룹은 최근 유동성 위기설로 곤욕을 치른 터라 내부적으로 이번 사태가 몰고 올 파장에 대한 경각심이 큰 상황인데요.<br><br>식품, 화학, 유통, 관광 등 사업 범위도 넓다보니 그에 맞는 대응 체계를 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집니다.<br><br>내년 1월 중순에는 사장단 회의로 불리는, VCM이 예정돼 있는데요.<br><br>새해 사업계획과 중장기 전략을 구체화하는 것은 물론, 주력사업의 부진 타개와 지속 성장 방안을 논의할 것으로 관측됩니다.<br><br>Q5. 특히 유통과 자동차 업계는 꽁꽁 언 소비심리를 녹이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고요?<br><br>비상계엄부터 윤석열 대통령 탄핵까지 12월 절반을 정치적 리스크 속에서 보낸 만큼, 각종 행사로 만회하겠다는 전략인데요.<br><br>대형마트는 본격 홈파티용 제품 위주로 연말 할인에 돌입했고, 편의점은 1kg이 넘는 대용량 스타게티나 지름이 19cm에 달하는 대형 햄버거 등 가성비 전략으로 소비 심리 회복에 나섰습니다.<br><br>자동차 업계도 재고 소진에 비상이 걸리면서 12월 또 한 차례의 할인행사를 준비하고 있습니다.<br><br>11월 코리아세일페스타 등 할인행사에도 불구하고 지난달 자동차 판매량이 10월 대비 오히려 0.4% 감소했기 때문인데요.<br><br>이번달 판매량마저 부진할 경우 올해 연간 신차 판매대수는 2013년 이후 11년 만에 최저인 163만 대 수준을 기록할 것이란 전망이 나옵니다.<br><br>지금까지 경제산업부 신선미 차장이었습니다.<br /><br /><br />신선미 기자 new@ichannela.com

Buy Now on CodeCanyon